경력개발 지원
경력개발 프로그램 신청 방법
- 신청: 쿠카이브(https://kuchive.korea.ac.kr) 접속 후, ‘대학원생 경력개발‘로 검색, 관심있는 프로그램 신청
- 안내: 프로그램별 이메일 발송 및 고려대학교 포털(https://portal.korea.ac.kr) 내 일반 공지사항 등에 안내
- 문의 : 대학원혁신본부 경력개발 graduate_career@korea.ac.kr
대학원생 맞춤형 경력개발 프로그램 개요
3개 영역으로 구성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모든 프로그램 계열별 분리 맞춤형 서비스 제공(주제, 강사 선정)
목표 : 지피지기(知彼知己) 바탕으로 차별화된 ‘자기 브랜딩(Personal Branding)’ 수립 위한 로드맵 제공
- 자기 이해
- 정보 획득
- 스킬 향상
기대효과
-
- Career Visioning
- 자기 탐색 (대내 지능, self-awareness 향상)
-
- Career Path Development
- Job Search Strategy Set-up
-
- Experience Enrichment
- Skill Improvement
구성
-
- Self-assessment(각종 검사)
- 자기 탐색 주제 전문가 특강
- 소그룹 워크샵
-
- 직무/산업/채용 트렌드 분석
- 전문가/현직자/교우 특강/세미나
- 직무 캠프
- 채용설명회/ 기업방문
-
- 자소서 준비 소그룹 워크샵
- 자소서/에세이 1:1 컨설팅
- 면접/인터뷰 1:1 컨설팅
- 인적성 검사
내용
-
- 관심사, 적성, 장단점 분석
- 진로/구직방향 설계 관련 기초 활동
-
- 최신 현장 사례 공유, 멘토링 제공
- 구직활동 전략 수립
-
- 자신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술적 역량 강화
1:1 코칭(연중 상시: 매주 화수목 9개 시간대) 진행, 채용설명회(인턴쉽/공채) 안내 등
대학원생 맞춤형 경력개발 프로그램: 학기당 운영 계획
학기별 상황에 따라 일부 프로그램 변경 가능, 1개 프로그램당 매학기 또는 연 1회 운영
프로그램 | 주요 대상 | 인문사회계열 (인문-사회(상경)) |
이공계열 1그룹 (자연과학) |
이공계열 2그룹 (IT/엔지니어링) |
이공계열 3그룹 (바이오/헬스케어) |
|||
---|---|---|---|---|---|---|---|---|
1-2학기 | 3학기~ | |||||||
교과목: 진로탐색과 커리어디자인 (주제: 기술발전과 사회변화, 그리고 미래 커리어) |
○ | 1학기 개설 | 2학기 개설 | |||||
1:1 코칭 | 담당: 산학협력 중점교수 | ○ | ○ | 매주 화수목 총 9개 시간대 오픈, 1시간씩 진행 (내담자 니즈에 맞춘 상담 진행) | ||||
자기이해 | 자기이해 워크샵 | 갤럽 클립톤 강점진단 | ○ | ○ | 6명씩 10회 (60명) | 6명씩 10회 (60명) | ||
리더쉽 개발 워크샵 (잠재력을 개발하고 자신의 일을 리드하는 법) | ○ | ○ | 4명씩 10회 (40명) | 4명씩 10회 (40명) | ||||
정보획득 | 연구직 세미나: 정출연/공공기관 현직자 초청 | ○ | ○ | 학기별 5-6회 | 학기별 5-6회 | |||
Career Insight 특강(일반구직): 업계 현직자 및 전문가 초청 | 융합 커리어 개발 특강 (2학기) | 과학기술분야, AI/Big Data 주제 등 5-6회 |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관련 4회 | |||||
직무특강 시리즈(다양한 산업/직무 현직자 특강) | ○ | HR, 마케팅, 기획, 디지털 마케팅 등 8-10개 특강 | 반도체, 2차전지, 데이터 분석, 바이오 연구개발 등 10-20개 특강 | |||||
직무캠프: 인턴쉽과 유사한 직무 간접경험 기회(캠프별 최대 8명 소그룹 운영, 5주간 진행) | ○ | HR, 디지털 마케팅, 브랜드 마케팅 등 |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제약산업 등 R&D, 공정설계 등 | |||||
스킬향상 | 취업 특강: 일반 구직 공채 대비 | ○ | 방학 중 다음 학기 구직활동 참여자 대상 진행 | |||||
워크샵 및 1:1 컨설팅 | ○ | 연구계획서, 자소서, 면접 준비 위한 소그룹 워크샵 및 1:1, 2:1 컨설팅 |
비교과-자기이해 영역: 자기이해 워크샵
갤럽 ‘클립톤 강점진단’ 온라인 테스트 및 소그룹 결과 워크샵 진행
- 부제 : ‘나를 알아야 찾을 수 있는 일의 의미와 재미‘
- 개설 취지 : 진로설계를 위한 기초활동으로써 개인의 강점, 적성, 역량 등을 파악하여 자신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고 향후 구직 활동시 개인 브랜딩 위한 자료로 활용함.
- 선정 배경 : 일반적인 성격유형검사나 무료 접근 가능한 검사보다, 대학원생들의 진로개발 관련 활용도 높고 향후 구직활동 및 조직생활 관련 코칭 가능
- 참여혜택 : 매학기 1회 진행: 계열별 60명씩, 6명씩 10개반 워크샵 진행
- 만족도 조사 결과 (만족도 평균 : 4.6 - 4.8)
- “나의 성향을 이해하는 것을 기본으로 업무성향까지 파악하는 시간이었다”
- “생각보다 정확한 결과를 받아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잡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 “내가 삶에 있어서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정리되어서 보여지니까 앞으로 내 삶을 어떤 식으로 풀어가면 좋을지 좀 더 가닥이 잡힌 것 같았다”
< 클립톤 강점진단: 4개 영역, 34개 테마 >

비교과-정보획득 영역: Career Insight 특강(이공계열)
대기업, 정출연/공공기관, 스타타업, 외국계 기업 현직자 초청, 현장 사례 공유 및 멘토링 제공
[ 참고: 2021-2022학년도 Career Insight 특강(이공계열) 리스트 (매회 2시간 진행) ]
구분 | 번호 | 기관 및 소속 본부/부서 | 초청 현직자 (전공, 학위) |
---|---|---|---|
AI/Big Data 산업 관련 | 1 | 현대자동차 빅데이터실 | 최낙현 상무 |
2 | LG그룹 AI연구원 | 임우형 상무 (컴퓨터공학 박사) | |
3 | 네이버 AI연구소 | 하정우 소장 (컴퓨터공학 박사) | |
4 | KT 융합기술원 AI2XL연구소 | 배순민 소장 (박사, Media Lab 부전공) | |
5 |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공공교육사업본부 | 기술총괄임원 신용녀 상무 (컴퓨터학 박사) | |
6 | 수퍼빈 (플라스틱 회수 AI로봇 개발 스타트업) | 김정빈 대표 (경제학 박사 수료, 행정학 석사, 전 코스틸그룹 대표이사 ) |
|
바이오/헬스케어 산업 | 1 | 아모레퍼시픽 기반혁신연구소 (2회) | 박원석 소장 (의과대학 피부학 박사) |
2 | 삼성바이오로직스 공정기술본부 분석팀 (2회) | 고려대 보건과학대 환경보건독성학 석사 교우 | |
3 | 셀트리온 CMC 허가팀 (2회) | 1. 고려대 생명공학과 석사 교우 2. CMC허가2팀 현직자 (생명공학과 석사) |
|
4 | 올리패스(RNA 신약개발 제약회사) | 이장영 부사장 (생명과학과 박사) | |
5 | 루닛 LUNIT (AI헬스케어 스타트업) | Senior Product Manager (생명과학 학사) | |
6 | CJ제일제당 식품개발R&D (2회) | 고려대 생명과학대 식품공학 석사 교우 | |
7 | 삼성바이오에피스 품질평가팀 분석그룹 | 고려대 화학과 박사 교우 |
비교과-정보획득 영역: 연구직 세미나 (이공계열)
대기업, 정출연/공공기관, 스타트업, 외국계 기업 현직자 초청, 현장 사례 공유 및 멘토링 제공
[ 참고: 2021-2022학년도 Career Insight 특강(이공계열) 리스트 (매회 2시간 진행) ]
번호 | 기관 및 소속 본부/부서 | 초청 현직자 (전공, 학위) | |
---|---|---|---|
1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 (2회) | 사업조정본부 투자기획조정센터 | 부연구위원 (환경공학 박사) |
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ICT) | 건축에너지연구소 | 수석연구원 (건축환경설비 박사 수료) |
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2회) | ICT 창의연구소 | 연구원 (신소재공학 박사 재학) |
4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IGAM) | 자원활용연구센터 | 책임연구원 (금속공학 박사) |
5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 발사체개발사업본부 | 선임연구원 (기계공학 박사) |
6 | 한국식품연구원 (KFRI) | 식품산업연구본부 | 연구원 (시스템식품생명공학 박사 재학) |
7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KITECH) | 산업기술전략본부 3D프린팅제조혁신사업단 | 선임연구원 (기계공학 박사) |
8 | 한국연구재단 (NRF) | 국책연구본부 차세대바이오단 사업기획 | 연구위원 (수의학 박사) |
9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FE) | ITER한국사업단 | 책임연구원/팀장 (전산유체역학 박사) |
10 | 기초과학연구원 (IBS) | 희귀핵 연구단(CENS) | 차세대 연구리더(YSF) (물리학 박사) |
11 |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 합성생물학연구센터 | 책임연구원 (국내대학 학사, 해외대 과학기술의학대학 박사) |
비교과-정보획득 영역: 연구직 세미나 (인문사회계열)
대기업, 정출연/공공기관, 스타트업, 외국계 기업 현직자 초청, 현장 사례 공유 및 멘토링 제공
[ 참고: 2021-2022학년도 연구직 세미나(인문사회계열) 리스트 (매회 2시간 진행, 질의응답 1시간) ]
번호 | 기관 및 소속 본부/부서 | 초청 현직자 (전공, 학위) | |
---|---|---|---|
1 | 산업연구원 (KIET) (2회) | 산업통상연구본부 해외산업실 | 부연구위원 (경제학 석사, 박사) |
2 | 노동연구원 (KLI) (2회) | 사회정책연구본부 | 부연구위원 (경제학 석사, 노동경제학 박사) |
3 |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2회) | 지능정보사회정책센터 | 센터장 (행정학 석사, 박사) |
4 | 국제협력연구본부 개발협력연구실 | 부연구위원 (경제학 학사, 국제협력 박사) | |
5 | 교육개발원 (KEDI) (2회) | 교육현장연구본부 교육복지연구실 | 부연구위원 (교육심리학 석사, 박사) |
6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CE) (2회) | 교육평가본부 학생평가지원센터 | 부연구위원 (교육학 박사) |
7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KRIVET) (2회) | 미래인재연구본부 | 연구위원 (교육학 석사, 교육학 박사) |
8 | 세종연구소(사단법인) | 통일전략연구실 | 연구위원 (정치경제학 석사, 박사) |
9 | 한국연구재단 (NRF) | 경영실 운영지원팀(기관행정 및 연구기록물 관리) | 선임연구원(연구위원) (한국사 학사, 국사학 석사, 박사) |
10 |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고용정보원 (KIES) | 연구사업본부 청년허브센터 청년정책모니터링팀 | 부연구위원 (정책학(HRD) 석사, 박사) |
1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 산업기술전략본부(정책기획직군) | 선임연구원 (경영학 석사, 과학기술협동과정 박사과정 재학) |
12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 미래혁신전략연구본부 | 선임연구원 (문헌정보학 석사) |
13 | 한국개발연구원 (KDI) | 규제연구센터 제도연구팀 | 전문연구원 (의학통계학 석사) |
비교과-정보획득 영역: 직무캠프
대기업 현직자(멘토)와 함께 간접 실무 체험 기회, 인턴쉽과 유사한 직무 경험 *
[ 참고: 2022학년도 겨울방학 직무캠프 개설 리스트 ]
기간 | 구분 | 캠프명 | ||
---|---|---|---|---|
겨울방학 5주간 * 캠프당 모집 인원: 8명 |
이공계열 (7개) |
1 | 로봇 개발 | 로봇 개발 직무 체험 : 수직다관절 로봇의 기구/제어 |
2 | 자동차 연구개발 | 자동차 전장 개발 현직자와 함께 하는 연구개발 실무 | ||
3 | 제약 품질관리 | 제약/바이오 대기업 현직자와 함께하는 품질관리 직무 완벽 이해 | ||
4 | 빅데이터 분석 | 빅데이터 분석? 실무 비지니스 처럼 한 번, 분석해보자 | ||
5 | 반도체 설계 | 시스템반도체 회로 설계 현직자와 함께 직무 이해 높이기 | ||
6 | 의약품 연구개발 | 의약품 연구 개발 및 기획 업무의 모든 것: 후보물질 탐색, 과제관리 등 | ||
7 | 2차전지 연구개발 | 배터리(2차 전지) 연구개발 실무 과제를 통한 이론적/현장적 기본 지식 함양하기 | ||
인문사회계열 (3개) |
1 | 디지털 마케팅 1 | 대기업 출신 현직자의 Fact와 Data 기반 마케팅 실무 | |
2 | HR | HR에서 중요한 Agenda를 가지고 인사 담당자처럼 고민하고 정리해보기 | ||
3 | 디지털 마케팅 2 | 자동차 대기업 현직자에게 배우는 디지털&데이터 마케팅 실무 A to |
* 외부업체와 용역계약으로 운영, 현직자 섭외 기준: 경력 5-10년차,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직무캠프 운영 평가 우수자
비교과-스킬향상 영역: 자소서/면접 워크샵, 컨설팅 등
구직활동에 필요한 기술적 역량 강화
[ 참고: 2021-2022학년도 운영 리스트 ]
구분 | 내용 | 참고 | |
---|---|---|---|
취업 특강 |
|
|
|
1:1 면접 컨설팅 |
|
||
자소서 워크샵 및 1:1 컨설팅 (담당 컨설턴트: 이공계열: 화공생명공학과 박사학위 소지자/ 인문사회계열: 외국계 기업 HR 출신 경영학 석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