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소식
강동혁 석박사통합과정생(지도교수 윤영수), 차세대 수계 아연 이차전지 음극용 고성능 3차원 탄소 전극 소재 개발
2022.07.26 Views 272
강동혁 학생(지도교수 윤영수), 차세대 수계 아연 이차전지 음극용 고성능 3차원 탄소 전극 소재 개발
요약 : 수계 아연 이차전지용 탄소 음극 소재 표면에서 발생하는 수소발생반응(HER) 및 부산물 형성 억제를 위한 소재 설계 기술 개발
내용 : 금속 아연 음극을 기반으로 한 수계 아연 이차전지는 물을 기반으로 하여 폭발/화재의 위험성이 매우 적으며, 아연의 많은 자원량과 높은 이론 용량(820 mA h g-1 and 5855 mA h cm-3)으로 모바일 전자 기기 및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차세대 전력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수계 아연 이차전지는 수계 전해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물 분해로 인한 수소 발생 반응(HER)과 부산물 형성으로 인한 전기화학적 성능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약산성 전해질을 사용하는 수계전해질 시스템 내에서 강한 부식저항성을 가지며 넓은 활성표면을 제공할 수 있는 탄소계 집전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탄소집전체의 표면특성과 기공특성에 따라 물 분해 및 부산물 형성반응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현상이 여러 차례 보고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탄소집전체-수계전해질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부족하여 탄소 전극 소재 설계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탄소 전극 소재의 표면 특성, 미세구조 및 기공구조가 아연 수계 이차전지용 전해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물 분해와 부산물형성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직적/체계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산소 작용기와 같은 헤테로원소의 물 분해 촉진 효과는 미미한 반면 초미세기공과 물분해의 강한 상호작용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초미세기공이 최소화 된 3차원 탄소 전극 소재를 수계 아연 이차전지용 음극소재로 활용하여 2,000회 이상의 장기간 충/방전 수명 안정성과 ~99% 이상의 매우 높은 쿨롱 효율을 달성하였다.
본 연구내용은 KU-KIST융합대학원의 강동혁 석/박사 통합과정 학생이 윤영수 교수의 지도하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강원대학교 임형규 교수의 도움을 받아 진행되었다.
그림 1. 초미세기공과 수소 발생 반응 사이의 강한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제일원리계산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