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소식
김이현 박사(제1저자), 송현규 교수(생명과학부), 기질 분해에 따른 산성화를 통한 가수분해효소의 생성물 방출 기전 규명
2022.06.22 Views 546
기질 분해에 따른 산성화를 통한 가수분해효소의 생성물 방출 기전 규명
고려대학교 송현규 교수(생명과학부) 연구팀은 세균에 존재하는 ClpP 세린형 가수분해효소(serine protease)의 가수분해 생성물인 펩타이드의 방출 기전을 규명하였다.
ClpP 가수분해효소는 Clp-ATPase와 결합하여 세포 내 많은 생리적 과정에 관여하는 ATP-의존성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복합체이다. 본 연구진은 ADEP (acyldepsipeptide) 화합물을 이용하여 Clp-ATPase 없이 ClpP의 활성화 기전을 규명한 적이 있고, 이를 통해 신개념 항생제로서 ADEP 화합물의 개발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이처럼 ClpP 가수분해효소는 오랜 연구를 통하여 활성화 및 가수분해 기전은 잘 알려져 있었으나 가수분해 산물이 어떻게 ClpP 분자에서 방출되지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었다.
본 연구는 초저온 현미경(Cryo-EM) 및 결정학 방법으로 고해상도 구조를 규명하고 창의적으로 디자인된 생화학적 방법을 결합하여 기질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ClpP 단백질 내부의 pH가 저하되고(산성화) 이에 따라서 ClpP 단백질의 측면의 출구가 열리는 기전을 밝혔다 (그림1). 이 연구결과는 ClpP 뿐만 아니라 다른 가수분해 효소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샤페론 분야에 획기적인 개념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유럽분자생물학기구의 EMBO Journal에 2022년 5월 20일자로 온라인 출판되었고 본교 대학원 생명과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후 현재 연구교수로 재직 중인 김이현 박사(사진1)가 제 1저자로 참여하였다.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