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대학원 소식

이희조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IoT SW보안 기술 인정

2017.05.25 Views 440



이희조 교수 연구팀, 세계 최고 IoT SW보안 기술 인정
세계 3대 보안 학회中 최고 ‘IEEE Security & Privacy’ 논문 채택

 



                                           ▲ 김슬배 연구원

 

 
모든 것이 지능화(AI) 되어 서로 연결되는 미래 테크노 유토피아에서는 거대 도시의 복잡한 일상을 처리하는 스마트 기술이, 사이버 공격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새로운 재해의 원인으로 작용할지도 모른다.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할 때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는 ‘재사용 코드(code clone)’의 문제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사물 인터넷(IoT) 장비와 더불어 각종 버그 및 보안 취약점을 확산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유명 공개 소프트웨어 2,500종을 분석한 결과, 85%에서 재사용 코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CCTV, 공유기 등 IoT 장비를 이용한 서비스 거부 공격(DoS)은 점차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이 점에 착안한 고려대 이희조 교수(IoT 소프트웨어보안 국제공동연구센터, 센터장) 연구팀은 소프트웨어에 내재된 취약한 ‘재사용 코드’를 획기적으로 자동 탐지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세계 최고 권위의 보안 학술대회인 ‘IEEE Security & Privacy (이하 S&P)’에 채택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IEEE S&PACM CCS, USENIX Security 와 더불어 보안 분야 세계3대 학회로 꼽힌다.

 

 

38회를 맞는 올해 S&P에는 전 세계 연구팀으로부터 450편이 넘는 논문이 제출되었는데, 그중 약 13%에 해당하는 60여 편만이 엄격한 심사 과정을 통과하였으며, 고려대 연구팀의 논문 “A scalable approach for VUlnerable coDe clone DiscoverY (이하 VUDDY)”는 심사위원단 6명으로부터 “SW 취약점을 종전의 기술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어 실용적 가치가 매우 높은, 현대 SW 생태계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라고 호평 받았다.

 

 

본 논문을 통해 VUDDY 기술은 美 CMU, UC Irvine 등 타 대학 연구소 기술보다 높은 정확성과 최소 두 배 이상 빠른 전처리 성능과 1,000배 이상 빠른 탐지 성능을 보유한 것이 입증되었고, 작년 4월부터 서비스 중인 “보안취약점 자동분석 플랫폼 – IoT큐브 (https://iotcube.net)”에 구현되어 누구나 사용해 볼 수 있다. 최근 발매된 스마트폰 3종에서 평균 200개의 보안 취약점을 찾아냈고, 전자 대기업 및 글로벌 IT회사에서 SW 개발시 보안검사 절차로 내재화하는 등 이미 활용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석사 과정임에도 큰 성과를 창출한 고려대 김슬배 연구원은 “알고리즘의 우수성으로 2천만 라인(line)의 스마트폰 소프트웨어도 1.3초 내에 처리하는 높은 성능과 쉬운 사용성까지 보유하여, 앞으로 더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면 한다”고 밝혔으며, 이희조 센터장은 “향후 IoT 장비의 보안 적합성을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등 국내 IoT 산업 발전에도 획기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VUDDY는 오는 5 23일 미국 세너제이에서 개최되는 S&P에서 전 세계에 발표될 예정이다.

 

 

 

 

출처 : 커뮤니케이션팀 남상헌(kize@korea.ac.kr)

file